세상 모든 정보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신청방법 환급과 혜택

느닷없네 2024. 3. 30.

 

 

 

K패스 신청(전환) 방법

 

 

 

정부의 K-패스 사업이 5월부터 전국에서 시행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확대 개편한 이 사업은 소득 수준별로 대중교통비를 일정 비율 현금으로 돌려주는 건데요... 대상 지역과 운영 방식, 지자체별 추가 혜택 등 K-패스 사업 관련 주요 내용을 상세히 살펴봅니다.

 

 

▶ 기후동행카드 구매, 가격, 충전, 판매처, 사용방법

 

▶ 기후동행카드 VS K패스 비교 (더경기패스)

 

▶ 8월부터 교통요금 인상, 알뜰교통카드로 월 1만 원 이상 절약

 

 

K-패스는 뭐가 다른가?

 

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후속 버전입니다. 가장 큰 차이라면 알뜰교통카드 당시 도보/자전거 이동 거리 기준으로 정액 지원금을 주던 방식에서 K-패스에서는 실제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일정 비율을 현금으로 돌려준다는 점입니다.

 

K-패스를 이용하려면 카드사를 통해 전용 카드를 발급받은 뒤 회원가입을 하면 되고,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라면 카드 발급 없이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됩니다. (전환 방법 아래 설명)

 

 

소득 수준별 최대 53% 환급

 

K-패스는 이용자의 월 대중교통 이용 횟수를 기준으로 일정 금액을 돌려줍니다. 월 15회 이상 이용 시 60회분까지 일반 대중은 20%, 청년층(만 19~34세)은 30%, 저소득층은 무려 53.3%의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가입 첫 달은 월 15회 미만 사용 시에도 환급, 두 번째 달부터는 월 15회 이상 이용 시 환급

 

환급 방식은 발급받은 카드에 따라 다르며, 체크카드는 연결 계좌로 입금, 신용카드는 익월 결제대금에서 해당 액수만큼 차감.

 

선불형 충전식 카드의 경우 앱을 통해 적립액만큼 재충전.

 

 

<할인요금 환산표>

기준요금 일반기준
(80% 적용)
청년기준
(70% 적용)
저소득층기준
(46.7% 적용)
1,400원 1,120원 980원 658원
1,500원 1,200원 1,050원 705원
1,600원 1,280원 1,120원 752원
1,700원 1,360원 1,190원 799원
1,800원 1,440원 1,260원 846원
1,900원 1,520원 1,330원 893원
2,000원 1,600원 1,400원 940원
2,100원 1,680원 1,470원 987원
2,200원 1,760원 1,540원 1,034원
2,300원 1,840원 1,610원 1,081원
2,400원 1,920원 1,680원 1,128원
2,500원 2,000원 1,750원 1,175원

 

 

지역 제한 완화, 대부분 시내 교통 이용 가능

 

알뜰교통카드 시절에는 시내교통수단만 인정되고 광역철도나 시외버스 등은 제외되었지만 K-패스는 국가기간교통망 연계교통수단까지 포함해 적용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또한 인구 10만 명 이상 지자체와 세종시, 제주도 등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강원도 일부 군 지역과 전북, 경북, 전남 등 일부 시군구는 인구가 10만 명 미만이어서 아직 적용을 받지 못합니다. 추후 이를 조정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1:1 재원 분담

 

K-패스 재원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반반씩 마련합니다. 단, 서울시 같이 대도시에서는 지자체가 60%를 부담하는 식으로 차등을 뒀습니다. 당국은 연간 최대 1조 5천억 원의 소요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더 많은 혜택 추가

 

이처럼 K-패스가 대중교통비 보조 기준을 전국적으로 일원화했지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보다 넉넉한 추가 혜택을 내놓고 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최대 3,000원 할인을 적용하는 'The 경기패스'를 운영합니다. 청년 기준 연령을 만 39세까지로 확대하고, 만 18세 이하 어린이/청소년에게는 연간 24만 원을 지원하는 혜택이 있습니다.

 

인천시에서도 청년 연령을 만 39세로 높였고 만 65세 이상 노인 환급 비율도 30% 높였습니다. 만 18세 이하 어린이/청소년에겐 연 12만 원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광주, 대전, 세종 등 여러 지자체에서 K-패스에 더해 자체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 중입니다. 앞으로 교통비 걱정 없이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 것 같네요.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K-패스 전환 사전 동의 방법

(아래 홈페이지 있습니다)

 

K패스 전환 방법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패스 전환 👆(클릭)

 

 

참고로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라면 2월 중순부터 앱에서 K-패스 전환 사전 동의 절차를 거치면 됩니다. 5월부터 K-패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니, 이때까지 절차를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절차가 까다롭지 않으니 꼭 챙겨주세요!

 

기존에 앱을 쓰시던 분들은 앱에서 하셔도 되고, 아니면 아래 홈페이지에서 하시면 됩니다. 아래 앱과 홈페이지 링크 걸어둡니다.

 

 

구글 알뜰교통카드 다운로드

 

K-패스 - Google Play 앱

대한민국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play.google.com

 

 

애플 알뜰교통카드 다운로드

 

‎K-패스(알뜰교통카드)

‎알뜰한 대중교통 생활의 시작,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 ■ K- 패스 카드발급과 회원가입이 필수! - K-패스 카드와 알뜰교통카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

apps.apple.com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는 K-패스가 전국에서 시행됩니다. 혜택을 누리는 법만 잘 알아두면 앞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한결 수월해질 것 같네요. 날로 증가하는 차량 운행 때문에 대기오염에 시달리는 요즘, 모두가 더 자주 대중교통을 이용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